사순절 5

항아리에 물을 가득 채우라

연회장이 신랑을 불러 말하되 사람마다 먼저 좋은 포도주를 내고 취한 후에 낮은 것을 내거늘 그대는 지금까지 좋은 포도주를 두었도다 하니라” (요한복음 2:9~10)

 

  

           그리스도인은 이미 사망에서 생명으로”( 5:24)의 체험을 가진 사람들입니다. 우리는 모두 썩을 생명을 가지고 태어나 썩지 않을 생명을 소유하게 되었습니다. 그런데 어떤가요? 우리는 지금 생명으로 충만한 삶을 살고 있습니까? 우리의 말과 행실 가운데 생명이 넘쳐흐르고 있습니까? , 우리도 저 세상의 사람들처럼, 시대의 풍조를 따라, 헛헛한 가슴을 안고 흔들리고 있지는 않습니까? 파스칼은 『팡세』에서 인간의 생을 두고, 솔로몬과 욥을 상기시켰습니다.

 

           솔로몬과 욥은 인간의 비참을 가장 잘 알았고, 가장 잘 이야기했다. 하나는 가장 행복했던 사람이었고, 다른 하나는 가장 불행했던 사람이었다. 경험을 통하여 한 사람은 쾌락이 허무함을 알았고, 다른 한 사람은 불행이 현실임을 알았다.”(블레즈 파스칼, 『팡세』중에서)

 

           그는 인간의 조건으로 변덕, 권태, 불안이라 하였습니다. 그런데 파스칼 자신이 바로 이 조건을 뛰어넘어, 인간의 비참함속에서 위대함을 발견했다고 선언합니다. 그는 그것이 복음서의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라고 했습니다. 복음서의 예수 그리스도! 갈릴리 가나의 혼인잔치도 그 하나가 아니었을까요?

 

           가나는 히브리어 갈대의 땅이란 뜻이며, 갈릴리는 멸시 받고 천대받는 땅의 상징이었습니다. 한 글자도 쉬이 지나갈 수 없는 성경인지라, 먼저 이 지명에 눈을 돌립니다. 솔로몬은 강국의 왕이었지만, 그 마음은 늘 갈대처럼 흔들렸습니다. 욥은 동방에서 제일가는 부자였지만 일순간 가장 천하고, 낮은 사람으로 전락했습니다. 두 사람 모두, 인생이 아침 안개와 같다 하신 성경말씀 그 자체였습니다. 어떤 삶인들 만족이 있으며, 어떤 고통인들 다함이 있겠습니까? 이 땅에서의 삶이란 허무라는 말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채워지지 않는 항아리 같습니다. 무엇을 꿈꾸고 소망하며 여기까지 달려왔습니까? 바로 이 질문의 자리에서 우리는 가나 혼인잔치를 다시 읽어야 하겠습니다.

 

           포도주가 떨어졌을 때 모두 잔치가 끝났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. 사건은 혼인잔치의 주인공인 신랑과 신부만의 문제가 아닙니다. 연회장의 문제만도 아닙니다. 잔치에 참석함 모든 사람이 문제입니다. 이대로 기쁨의 잔치가 끝나버린다면…… 그때 주님께서 명하십니다. “항아리에 물을 채우라”( 2:7). 바닥을 드러내 버린 돌항아리는 우리입니다. 솔로몬도 돌항아리이고, 욥도 돌항아리입니다. 바닥을 드러내 버리고 나니 모두 끝난 것 같았습니다. 그런데 그곳에 물을 채우자 더 좋은 포도주가 되어있더란 말입니다.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. “아니야! 잔치는 끝나지 않았어. 이제부터 진짜 시작이야!” 연회장은 더 맛있는 포도주를 어디서 가져왔느냐고 했습니다.

 

           여러분, 우리가 사는 이 땅이 가나요, 갈릴리가 아닙니까? 우리가 바로 돌항아리가 아닙니까? 그런데 바로 여기서, 기쁨의 잔치가 다시 시작됩니다. 주님께서 내 삶 가운데 오셔야 합니다. 말씀으로 돌항아리를 채워야 합니다. 그래야 다시 볼 수 있고, 누릴 수 있고, 맛볼 수 있습니다. ‘새로운 기쁨을 찾으시기 바랍니다.